-오픈튜토리얼스에서 배우기-
1038 : [기초-산술연산] 정수 두 개 입력받아 합 출력하기1
정수 2개를 입력받아 합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
(단, 입력되는 정수는 -1073741824 ~ 1073741824 이다.)
두 개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.
** 주의 : 계산의 결과가 int 데이터형의 표현 범위로 가능한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.
입력 받은 두 정수의 합을 출력한다.
123 -123
0
정답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int a,b;
scanf(“%d %d”, &a,&b);
printf(“%d”,a+b );
return 0;
}
1039 : [기초-산술연산] 정수 두 개 입력받아 합 출력하기2
정수 22개를 입력받아 합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
(단, 입력되는 정수는 −2147483648∼2147483647−2147483648∼2147483647 이다.)
두 개의 정수가 공백으로 구분되어 입력된다.
입력 받은 두 정수의 합을 출력한다.
2147483647 2147483647
4294967294
정답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long long a,b;
scanf(“%lld %lld”, &a,&b);
printf(“%lld”,a+b );
return 0;
}
1040 : [기초-산술연산] 정수 한 개 입력받아 부호 바꿔 출력하기
입력된 정수의 부호를 바꿔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
(단, -2147483647 ~ 2147483647 범위의 정수가 입력된다.)
정수 한 개가 입력된다.
입력 받은 정수의 부호를 바꿔 출력한다.
-1
1
정답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int a;
scanf(“%d”, &a);
printf(“%d”, -a);
return 0;
}
1041 : [기초-산술연산] 문자 한 개 입력받아 다음 문자 출력하기
영문자 한 개를 입력받아, 그 다음 문자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
영문자 ‘AA‘의 다음 문자는 ‘BB‘이고, 문자 ‘00‘의 다음 문자는 ‘11‘이다.
영문자 한 개가 입력된다.
입력된 문자의 아스키코드 값 바로 다음 코드 값에 해당하는 문자를 출력한다.
a
b
정답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char a;
scanf(“%c”, &a);
printf(“%c”, a+1);
return 0;
}
1042 : [기초-산술연산] 정수 두 개 입력받아 나눈 몫 출력하기
정수 두 개(a, b) 를 입력받아 a를 b로 나눈 몫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
(단, 입력되는 두 개의 정수 a, b의 범위는 -2147483648 ~ 2147483647이고, b는 0이 아니다.)
정수 두 개(a, b)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.
(단, a, b의 범위는 -2147483648 ~ 2147483647이고, b는 0이 아니다.)
a를 b로 나누었을 때의 몫을 정수형태로 출력한다.
예를 들어 5÷2=2.55÷2=2.5 인경우, 2를 출력한다.
1 3
0
정답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int a, b;
scanf(“%d %d”, &a, &b);
printf(“%d”, a/b);
return 0;
}
1043 : [기초-산술연산] 정수 두 개 입력받아 나눈 나머지 출력하기
정수 두 개(a, b) 를 입력받아 a를 b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
(단, 두 개의 정수 a, b의 범위는 0 ~ 2147483647이고, b는 0이 아니다.)
정수 두 개(a, b)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.
(단, a, b의 범위는 0 ~ 2147483647이고, b는 0이 아니다.)
a 를 b로 나눈 나머지를 출력한다.
3 7
3
정답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int a,b;
scanf(“%d %d”, &a, &b);
printf(“%d”, a%b);
return 0;
}
1044 : [기초-산술연산] 정수 한 개 입력받아 1 더해 출력하기
정수를 한 개 입력받아 1을 더해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
(단, 정수는 -2147483648 ~ 2147483647 의 범위로 입력된다.)
주의 : 계산되고 난 후의 데이터 범위에 주의한다.
정수 한 개가 입력된다.
(단, -2147483648 ~ 2147483647 의 범위로 입력된다.)
입력된 정수에 1을 더해 출력한다.
2147483647
2147483648
정답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long long n;
scanf(“%lld”, &n);
printf(“%lld”, n+1);
}
1045 : [기초-산술연산] 정수 두 개 입력받아 자동 계산하기
정수 두 개(a, b)를 입력받아 합, 차, 곱, 몫, 나머지, 나눈값을 자동으로 계산해보자.
(단 입력되는 정수 a, b의 범위는 0 ~ 2147483647이고, b는 0이 아니다.)
정수 두 개(a, b)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.
(단, a, b의 범위는 0 ~ 2147483647이고, b는 0이 아니다.)
첫 줄에 합
둘째 줄에 차(a-b)
셋째 줄에 곱,
넷째 줄에 a를 b로 나눈 몫,
다섯째 줄에 a를 b로 나눈 나머지,
여섯째 줄에 a를 b로 나눈값(실수,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해 둘째 자리까지 출력)
을 출력한다.
10 3
13 7 30 3 1 3.33
정답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long long a,b;
scanf(“%lld %lld”, &a, &b);
printf(“%lld\n”, a+b);
printf(“%lld\n”, a-b);
printf(“%lld\n”, a*b);
printf(“%lld\n”, a/b);
printf(“%lld\n”, a%b);
printf(“%.2lf\n”,(float)a/(float)b);
return 0;
}
1046 : [기초-산술연산] 정수 세 개 입력받아 합과 평균 출력하기
정수 세 개를 입력받아 합과 평균을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자.
(단, -2147483648 ~ 2147483647)
정수 세 개가 공백을 두고 입력된다.
(단, -2147483648 ~ 2147483647)
입력 받은 정수 세 개의 합과 평균을 줄을 바꿔 출력한다.
평균은 소수점 이하 둘째 자리에서 반올림하여 첫째 자리까지 출력한다.
1 2 3
6 2.0
정답
#include <stdio.h>
int main()
{
int a,b,c;
scanf(“%d %d %d”, &a, &b, &c);
printf(“%d\n%0.1f”, a+b+c, (float)(a+b+c)/3);
return 0;
}